정연희, 「영어 문장 형식 비교 연구」, 2016
1. 서론: 전통 5형식 체계의 한계와 확장의 필요성
영어 문장 구조 분석의 기본 틀로 사용되어온 전통적인 5형식 체계는 Onions(1929)에 의해 체계화된 이후 한국의 영어 교육 현장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현대 언어학의 관점에서 볼 때, 이 체계는 몇 가지 근본적인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전통 5형식 체계의 주요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사적 요소를 문형 분류에서 체계적으로 배제함으로써 동사의 의미 완성에 필수적인 부사적 보충어를 간과한다. 둘째, 목적보어의 동사 의존성과 의미론적 선택 관계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다. 셋째, 구조적으로 상이한 구문들을 단순히 5형식으로 일괄 분류함으로써 통사적 정밀성을 결여한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정연희(2016)는 구조주의 및 변형문법 이론을 바탕으로 6형식과 7형식까지 확장된 문형 체계를 제안했다. 이 확장된 체계는 단순한 형식 추가가 아니라, 동사의 하위범주화(subcategorization)와 의미 선택 제약을 반영한 보다 정교한 문장 구조 분석 틀을 제공한다.
2. 전통 5형식 체계의 재검토
2.1 기존 5형식의 구조적 특징
전통적인 5형식 체계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1형식 (SV): 주어 + 자동사
- The baby sleeps.
- Birds fly.
2형식 (SVC): 주어 + 연결동사 + 주격보어
- She is beautiful.
- The flower smells sweet.
3형식 (SVO): 주어 + 타동사 + 목적어
- I love music.
- They built a house.
4형식 (SVOO): 주어 + 타동사 + 간접목적어 + 직접목적어
- I gave him a book.
- She told me the truth.
5형식 (SVOC): 주어 + 타동사 + 목적어 + 목적격보어
- We elected him president.
- I found the book interesting.
2.2 전통 체계의 구조적 맹점
전통 5형식 체계의 가장 큰 문제는 동사의 의미 완성에 필수적인 부사적 요소를 임의적(optional)인 수식어로 간주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He put the book on the table”에서 “on the table”은 단순한 부사구가 아니라 동사 ‘put’의 의미를 완성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이를 생략한 “*He put the book”은 비문(ungrammatical)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목적격보어가 포함된 구문들을 모두 5형식으로 분류하는 것도 문제가 있다. “I painted the wall red”와 “I consider him intelligent”는 표면적으로는 유사해 보이지만, 통사적·의미적 구조가 근본적으로 다르다. 전자는 동작의 결과를 나타내는 결과술어(resultative predicate) 구조인 반면, 후자는 주관적 판단을 나타내는 복합 타동사 구조이다.
3. 6형식 확장: SVOA 구조의 필요성
3.1 부사적 보충어의 통사적 지위
6형식(SVOA)은 주어 + 타동사 + 목적어 + 부사적 보충어(Adverbial Complement)의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부사적 보충어는 선택적인 수식어가 아니라 동사의 하위범주화 틀에 의해 요구되는 필수 논항(obligatory argument)이다.
핵심 예시들:
- She put the keys in her pocket. (위치 표현 필수)
- They placed the statue on the pedestal. (장소 표현 필수)
- I kept the documents in the safe. (보관 장소 필수)
- He laid the carpet on the floor. (위치 관계 필수)
3.2 동사별 하위범주화 패턴
6형식을 요구하는 동사들은 특정한 의미적 특성을 공유한다:
위치 동사(Locative Verbs): put, place, lay, set, install, position
- 이들 동사는 의미상 ‘무엇을 어디에 두다’의 구조를 내재하고 있어 위치나 방향을 나타내는 부사적 보충어가 반드시 필요하다.
상태 유지 동사(State-keeping Verbs): keep, hold, maintain
- 목적어의 상태나 위치를 특정한 조건 하에서 유지함을 의미하므로 그 조건을 명시하는 부사적 보충어가 요구된다.
3.3 통사적 판별 기준
부사적 보충어와 일반적인 부사구를 구별하는 주요 기준은 다음과 같다:
필수성 검증: 해당 요소를 제거했을 때 문장이 비문이 되거나 의미가 심각하게 손상되는가?
- *He put the book. (비문)
- *He put the book on the shelf. (문법적)
동사 의존성: 해당 부사적 요소가 동사의 어휘적 의미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가?
- ‘put’은 위치 관계를 전제로 하는 동사이므로 장소 부사구가 의미적으로 필수적이다.
이동 불가능성: 부사적 보충어는 일반적인 부사구와 달리 문장 내에서의 이동이 제한적이다.
4. 7형식 확장: 결과술어 구조의 독립성
4.1 결과술어의 의미적 특성
7형식은 주어 + 타동사 + 목적어 + 결과술어(Resultative Predicate)의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결과술어는 동사 행위의 직접적인 결과로 목적어가 도달하게 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대표적 예시들:
- The gardener painted the fence white. (색상 변화)
- The voters elected him president. (지위 변화)
- The noise drove me crazy. (상태 변화)
- They hammered the metal flat. (형태 변화)
- She wiped the table clean. (상태 변화)
4.2 전통 5형식과의 구별점
7형식 구조는 전통적으로 5형식으로 분류되어온 SVOC 구조와 다음과 같은 점에서 구별된다:
인과관계의 명시성: 7형식에서는 동사 행위와 결과 상태 사이에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성립한다. “paint the fence white”에서 ‘painting’ 행위가 직접적으로 ‘whiteness’라는 결과를 초래한다.
시간적 순차성: 동사 행위가 먼저 일어나고, 그 결과로 목적어가 결과술어로 표현된 상태에 도달한다. 이는 전통적인 목적격보어 구조와는 다른 시간적 관계를 보여준다.
동사 제약의 특수성: 7형식을 취하는 동사들은 일반적으로 변화(change)나 영향(effect)을 의미하는 동사들로 제한된다.
4.3 결과술어의 통사적 분포
결과술어로 기능할 수 있는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형용사구(Adjective Phrases):
- She painted her nails bright red.
- The sun turned the leaves golden yellow.
명사구(Noun Phrases):
- They elected him the new chairman.
- We appointed her the head of department.
전치사구(Prepositional Phrases):
- He broke the vase into pieces.
- She cut the rope in half.
5. 확장된 7형식 체계의 교육적 함의
5.1 체계적 문형 분류의 완성
확장된 7형식 체계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형식 | 구조 | 핵심 특징 | 대표 예시 |
---|---|---|---|
1형식 | SV | 자동사 중심 | Birds fly. |
2형식 | SVC/SVA | 주격보어 또는 부사적 보어 | She is kind. / He lives here. |
3형식 | SVO | 단일 타동사 | I love music. |
4형식 | SVOO | 이중 타동사 | I gave him a book. |
5형식 | SVOC | 복합 타동사 (판단/인식) | I consider him honest. |
6형식 | SVOA | 부사적 보충어 필수 | Put the book on the shelf. |
7형식 | SVO+결과술어 | 동작 결과 표현 | Paint the wall red. |
5.2 동사 중심의 구조 분석
확장된 체계의 가장 큰 장점은 동사의 의미적 특성과 통사적 요구사항을 체계적으로 반영한다는 점이다. 각 동사는 고유한 하위범주화 틀(subcategorization frame)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문장 구조를 결정하는 핵심 요인이 된다.
동사별 분류 예시:
- 인식/판단 동사 (5형식): consider, find, think, believe
- 위치 동사 (6형식): put, place, lay, set, install
- 변화 유발 동사 (7형식): paint, make, turn, drive, elect
5.3 학습자 오류 예방 효과
확장된 체계는 다음과 같은 학습자 오류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부사적 보충어의 누락:
- 잘못된 예: *He put the money. (6형식 부사적 보충어 누락)
- 올바른 예: He put the money in the bank.
구조적 혼동 방지:
- I made him angry. (7형식: 결과술어)
- I made him a sandwich. (4형식: 이중목적어)
동사 선택의 정확성:
- 각 동사의 하위범주화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적절한 문형 선택이 가능해진다.
6. 이론적 배경과 언어학적 근거
6.1 구조주의 문법 이론
확장된 문형 체계는 구조주의 언어학의 핵심 원리인 ‘형식과 기능의 대응’을 반영한다. 각 문형은 단순한 어순의 패턴이 아니라 특정한 의미적 기능과 통사적 제약을 가진 독립적인 구조로 간주된다.
6.2 변형문법의 영향
Chomsky의 변형문법 이론, 특히 정부결속이론(Government and Binding Theory)의 관점에서 볼 때, 동사는 자신의 보충어(complement)에 대해 특정한 통사적·의미적 요구사항을 부과한다. 6형식과 7형식의 확장은 이러한 동사의 하위범주화 특성을 문형 분류에 체계적으로 반영한 것이다.
6.3 의미역 이론의 적용
각 문형은 특정한 의미역(thematic role) 구조와 대응된다:
- 6형식: 행위자(Agent) + 대상(Theme) + 위치(Location)
- 7형식: 행위자(Agent) + 대상(Patient) + 결과(Result)
이러한 의미역 구조는 문형의 의미적 특성을 명확히 하고, 학습자의 이해를 돕는다.
7. 결론: 체계적 문형 분석의 새로운 지평
5형식에서 7형식으로의 확장은 단순한 분류 체계의 개선을 넘어서, 영어 문장 구조에 대한 보다 정교하고 체계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이 확장된 체계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
첫째, 동사 중심의 문장 분석을 통해 각 동사의 고유한 통사적·의미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반영한다. 둘째, 부사적 보충어와 결과술어의 통사적 지위를 명확히 함으로써 기존 체계의 분류상 모호함을 해결한다. 셋째, 언어학 이론의 발전을 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 틀을 제공한다.
미래의 영어 교육에서는 이러한 확장된 문형 체계를 통해 학습자들이 보다 정확하고 체계적으로 영어 문장 구조를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한국어와 영어의 구조적 차이를 고려할 때, 이러한 정밀한 문형 분석은 효과적인 영어 학습의 기초가 될 수 있다.
확장된 7형식 체계는 전통적인 5형식 체계의 한계를 극복하고, 현대 언어학 이론의 성과를 반영한 보다 완성도 높은 문장 분석 도구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이는 영어 교육의 질적 향상과 학습자의 언어 능력 개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