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문장 형식의 진화

5형식에서 7형식으로: 구조주의적 확장

5형식
전통 체계
(Onions, 1929)
6형식
부사적 보충어
확장
7형식
결과술어
완성
1형식
S + V

자동사 구조

Birds fly.
The baby sleeps.

특징: 동작의 주체만 표현, 목적어 불필요

2형식
S + V + C

주격보어 구조

She is beautiful.
The flower smells sweet.

특징: 주어의 상태나 성질을 보어로 설명

3형식
S + V + O

단일 타동사 구조

I love music.
They built a house.

특징: 동작의 대상(목적어) 하나만 필요

4형식
S + V + O + O

이중 타동사 구조

I gave him a book.
She told me the truth.

특징: 간접목적어와 직접목적어 모두 필요

5형식
S + V + O + C

복합 타동사 구조

We elected him president.
I found the book interesting.

특징: 목적어의 상태나 성질을 목적격보어로 설명

6형식
NEW
S + V + O + A

부사적 보충어 구조

She put the keys in her pocket.
They placed the statue on the pedestal.

특징: 부사적 보충어가 동사 의미 완성에 필수적

7형식
NEW
S + V + O + 결과술어

결과술어 구조

John painted the car red.
The music drove me crazy.

특징: 동작의 결과로 목적어가 도달하는 상태 표현

🔍 전통 5형식 vs 확장 7형식

📚 전통 5형식의 한계

  • 부사적 요소의 체계적 배제
  • 목적보어의 동사 의존성 간과
  • 구조적 차이 무시한 일괄 분류
  • 의미적 정밀성 부족

✨ 확장 체계의 장점

  • 동사 하위범주화 반영
  • 필수 논항의 체계적 구분
  • 의미역 구조의 명확화
  • 통사적 정밀성 향상

🎯 문형 분석 체험

아래 단어들을 클릭하여 문장을 만들고 문형을 분석해보세요!

She
put
painted
the book
the wall
on the shelf
red
🔄 초기화
단어를 선택하여 문장을 구성해보세요.

📊 핵심 구별 기준

🔍

필수성 검증

해당 요소 제거 시 비문이 되는가?

🔗

동사 의존성

동사의 어휘적 의미와 긴밀한 연결성

시간적 관계

동작과 결과 사이의 인과관계

🎯

의미역 구조

각 성분의 의미적 역할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