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핵심 개념

조동사의 현재형/과거형은 시간이 아닌 '심리적 거리감'을 나타냅니다!

will ↔ would, can ↔ could, may ↔ might
이들의 차이는 확신의 정도, 정중함, 현실 가능성입니다.

심리적 거리감 측정기

가까움
(현재형: will, can, may)
보통 멀음
(과거형: would, could, might)

화자의 마음에서 상황까지의 거리를 나타냅니다

기본 개념
비교 분석
과거 표현
실전 연습
상황 현재형 조동사 과거형 조동사 의미 차이
요청 "Can you open the window?" "Could you open the window?" 직접적 → 정중함
추측 "He will be home." "He would be home." 확신 → 조건부
가능성 "She may come." "She might come." 보통 → 낮음
능력 "I can swim." "I could swim (if...)" 현실 → 가정
진짜 과거를 말할 때는 반드시
조동사 + have + 과거분사

과거 표현 타임라인

Must
Must have p.p - 분명히 ~했을 것이다
"He must have left early." (분명 일찍 떠났을 거야)
Will
Will have p.p - ~했을 것이다 (강한 추측)
"She will have arrived by now." (지금쯤 도착했을 거야)
May
May have p.p - ~했을지도 모른다
"He may have forgotten." (잊었을지도 모른다)
Could
Could have p.p - ~할 수도 있었는데 (후회)
"You could have won!" (이길 수도 있었는데!)
Would
Would have p.p - ~했을 텐데 (가정)
"I would have gone, but..." (갔을 텐데, 하지만...)

💪 실전 연습

Q1. "도와주실 수 있을까요?" - 가장 정중한 표현은?
Can you help me?
Could you help me?
Will you help me?
Q2. "그가 어제 아팠을지도 모른다" - 올바른 표현은?
He might be sick yesterday.
He might have been sick yesterday.
He might sick yesterday.
Q3. "더 일찍 왔을 수도 있었는데" - 후회의 표현은?
I could come earlier.
I could have come earlier.
I would come earlier.

🎯 상황별 연습

상황: 친구가 시험에서 떨어졌다고 말할 때
공감: "You must have been disappointed." (실망했을 거야)
위로: "You could have passed if you had more time." (시간이 더 있었다면 합격할 수도 있었는데)
상황: 회의에 늦은 동료에 대한 추측
강한 추측: "He must have been stuck in traffic." (분명 교통체증에 걸렸을 거야)
약한 추측: "He might have forgotten the meeting." (회의를 잊었을 수도 있어)
기억하세요!
조동사 "과거형"은 시간이 아닌 마음의 거리
진짜 과거 = 반드시 "have + 과거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