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T. Onions (1904) vs 현대 생성문법 vs 한국식 문장 5형식
구분 항목 | 🟦 Onions (1904) 술부 5형식 |
🟨 현대 생성문법 (Chomsky 이후) |
🟥 한국식 문장 5형식 |
---|---|---|---|
분류 대상 |
술부(predicate)의 구조
동사를 중심으로 한 술부 내부 구성요소들의 관계에 집중
|
절(clause)의 계층적 구조
CP-IP-VP 등 문장의 전체적인 통사적 위계구조
|
문장(sentence)의 형식
문장 전체를 주어+동사+목적어 등의 고정 패턴으로 분류
|
기본 단위 |
동사 중심 술부
동사가 요구하는 논항(argument)과 부가어(adjunct) 구분
|
Tense, IP, CP 등 계층적 단위
기능적 범주(functional category)와 어휘적 범주(lexical category)
|
S + V / SVC / SVO 등 고정 패턴
주어-동사-목적어-보어의 선형적 배열 중심
|
형식 수 |
5형식 (술부 중심)
술부의 기능적 특성에 따른 5가지 유형 분류
|
형식 개수로 분류하지 않음
통사구조의 복잡성과 다양성을 인정, 무한한 변형 가능
|
5형식 (문장 전체 구조 중심)
모든 문장을 5개 패턴 중 하나로 반드시 분류
|
형식 명칭 |
술부 제1~5형식
Predicate Type I: V
Predicate Type II: V + SC 등 |
절 내 구성요소의 역할로 설명
Subject, Complement, Adjunct, Specifier, Head 등
|
제1~5형식 (S, V, O, C 기준)
1형식: S+V, 2형식: S+V+C, 3형식: S+V+O 등
|
보어 개념 |
술어 명사/형용사
"He became mad"에서 'mad'는 술어 형용사
|
Small Clause 내부에서 주술관계
[SC him honest]에서 him-honest는 주어-술어 관계
|
목적보어/주격보어로 구분 교육
주격보어: "He is happy"
목적보어: "I made him happy" |
to부정사/분사 처리 |
목적어 또는 adjunct로 취급
"I want to go"에서 'to go'는 목적어
|
Small Clause, non-finite clause
[IP PRO to go]는 비정형절(non-finite clause)
|
보어로 취급 확대
"I want you to go" → you(목적어) + to go(목적보어)
|
대표 예시 |
"They elected him consul"
술부 제5형식: elect + him + consul
(동사 + 목적어 + 술어명사) |
[him consul] = small clause
VP[elect [SC him consul]]
소절 내에서 him과 consul이 주술관계 |
S + V + O + OC (제5형식)
They(S) + elected(V) + him(O) + consul(OC)
|
'put A into B' 유형 |
'into B'는 adjunct (부가어)
동사에 의해 요구되지 않는 선택적 성분으로 간주
|
'into B'는 locative complement
위치를 나타내는 필수적 논항(argument)으로 분석
|
전통적으로 부사어로 간주
5형식 분류에서 제외되는 '예외적' 구문으로 처리
|
문장유형 기준 |
술부의 기능적 구조
동사가 요구하는 보충성분의 종류와 기능에 따른 분류
|
의미역, 통사기능, 계층구조
Agent, Theme, Goal 등의 의미역과 Spec-Head 관계
|
구성요소 개수와 순서
문장 성분의 수와 배열 순서로 기계적 분류
|
교육적 장점 |
술부 중심의 체계적 분석
동사의 특성을 중심으로 한 논리적 접근
|
언어의 복잡성을 정확히 반영
실제 언어 현상에 대한 과학적이고 정밀한 분석
|
학습자 친화적 단순성
명확한 분류 기준으로 초보자도 쉽게 이해 가능
|
한계점 |
표면구조에만 집중
의미관계나 심층구조는 고려하지 않음
|
교육현장 적용의 복잡성
이론의 정교함이 초보 학습자에게는 과도할 수 있음
|
현실 언어와의 괴리
실제 영어에서 5형식으로 분류 불가능한 구문 다수 존재
|
Onions는 영어 문장을 구성하는 동사 중심의 술부를 기능적으로 5개로 나눈 초기 분석 틀을 제시했습니다. 생성문법(Chomsky)은 절의 내부 구조를 계층적으로 분석하며, 소절(Small Clause), Tense 유무, AGR 등을 기반으로 처리합니다. 한국 문법 교육은 일본식 학교문법을 이어받아 문장 전체 구조(SVO) 중심의 고정된 틀로 설명하여 학습자 편의성과 교과서 효율을 강조합니다.
💡 따라서 문법 교육에서는 Onions의 틀을 이해하되, 현대 언어학의 개념(small clause, non-finite clause 등)도 고급 과정에서는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